18일 대통령선거 환경 공약 제안 기자회견
세종보 재가동 중단, 4대강 보 처리 방안 추진 등 제안

[뉴스클레임]
4대강 재자연화를 촉구해온 환경단체들이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국민 건강과 강의 생태 회복을 위한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금강낙동강영산강보철거시민행동,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 등은 18일 오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의 생명과 환경을 지키는 것은 정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다. 이번 대선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 4대강의 생명을 되살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낙동강 유역 주민의 콧속에서 녹조독소가 검출된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다'며 "그동안 물, 공기, 농산물 등 다양한 경로로 노출돼온 녹조독소가 인체 내부에서도 검출되고 있는 상황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국가적 재난"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럼에도 환경부는 녹조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이나 장소에서 조사한 ‘불검출’ 결과만을 발표하며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의 조사 방법을 신뢰할 수 없다 주장하고, 오히려 시민단체에 대한 불신을 조장해 왔다"며 "낙동강 유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에 대한 국민적 불신은 커져만 갔고, 결국 주민의 콧속에서 독소가 검출되는 사태에까지 이르게 됐다"고 비판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가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자연성 회복’ 목표를 삭제하고, 4대강 보 처리 방안도 폐기하는 등 환경정책의 퇴행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이번 대선을 계기로 후보자들이 책임 있는 물 정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하며 ▲세종보 재가동 중단 ▲낙동강 녹조 대책 마련 ▲하천의 자연성 회복 ▲4대강 보 처리 방안 추진 ▲하구둑 개방 ▲초고도 오폐수처리 의무화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헌정사상 초유의 파면을 통해 국민의 심판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치러지는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환경 공약은 국가물관리계획의 자연성 회복, 4대강 수문 상시 개방, 보 처리 방안 마련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정책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