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최저물량 보장 촉구"
"최소물량 보장 단체협약에 명시해야"

15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앞에서 열린 '우정사업본부 규탄, 최저물량 보장 촉구 기자회견'. 사진=전국택배노동조합
15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앞에서 열린 '우정사업본부 규탄, 최저물량 보장 촉구 기자회견'. 사진=전국택배노동조합

[뉴스클레임]

“최저 175개 물량,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에게 주어져야 할 최소한의 존중입니다.”

우정사업본부의 물량 통제로 우체국 택배노동자 1263명이 최저물량 보장을 못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택배노동조합 우체국본부(이하 택배노조)는 “최저물량 175개는 생계선”이라며 이번 임금단체협상에서 수수료 인상, 물량 보장을 통한 생존권 사수를 위해 총력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택배노조는 15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75개는 최저 물량으로 모든 우체국 택배노동자들에게 보장돼야 하며, 이는 노동조합의 결코 물러설 수 없는 요구다”라고 주장했다.

택배노조가 우체국 물류지원단에 요청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연간 기준 일평균 175개 미만 배정받은 우체국 택배노동자가 전체 3500여명 중 1263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인원의 1/3을 넘는 수치다.

이들의 평균물량을 158개로, 평균 단가를 1207원으로 계산하면 매출이 400만원이다. 하지만 이들의 순수입은 리스 차량 비용과 유류비 등을 제외하면 270만원 수준에 불과하다

택배노조는 “우체국 택배노동자들은 수입 부족으로 배달알바 등 투잡으로 내몰리고 있다. 우체국 위탁택배원 업무가 ‘퇴직금도, 4대보험 보장도, 제대로 된 연월차도 없이 폭염, 폭우, 혹한, 폭설에도 뛰어다니며 일해야 하는, 힘든데 먹고살기도 힘든 일자리’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동조합은 현재 단체협상에서 최저물량 175개 보장 의무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기존 단협안 유지(노력한다)"’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면서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기관이 물론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비용절감을 하더라도 종사자들 적정 생계는 보장하면서 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김광석 택배노조 위원장은 “지금까지 노조는 사측과 신의성실의 자세로 단협을 이행해 왔으나 우정사업본부는 단협을 휴지 짝 취급하며 자신들의 행정 편의적으로 ‘노력한다’라는 문구로 단협을 이용했다”며 “이제부터는 노조의 요구를 단체협약에 넣어 이행할 차례”라고 발언했다.

정민정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사무처장은 “우체국택배 노동자에게 175개 물량 보장은 최저임금과 같다. 이는 최소한의 기준이다”라며 “우정사업본부는 물량을 보장하고 최소물량 보장을 단체협약에 명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