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이재명 정부, 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시작"
1만명 서명 대통령실에 전달

[뉴스클레임]
차별금지법제정연대가 이재명 정부를 향해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국정과제로 채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는 1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정부는 광장의 외침과 1만 시민의 목소리를 엄중히 받아들여야 하며, 차별금지법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차별과 혐오에 맞서 싸우는 시민들과 함께 평등사회를 실현할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차별금지법제정연대는 지난 5월 23일부터 6월 14일까지 ‘새정부 국정과제 요구 1만인 서명-새로운 민주주의는 차별금지법과 함께' 서명운동을 진행했다. 서명운동에는 1만729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이를 통해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명확히 채택▲정부안을 마련하기 위한 추진 단위 구성·운영, 구체적인 계획·로드맵 설정 ▲국가 차원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의 의미와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공론을 형성하는 역할에 나설 것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번 서명에서 시민들은 차별금지법을 ‘민생’의 문제로, ‘윤석열 정부와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낼 법으로, ‘내란 세력 청산’과 ‘새로운 사회’를 이뤄낼 법으로 인식하며,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단지 소수자 보호를 넘어 민주사회를 위한 필수적인 법으로서 요구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정부는 더 이상 정치적 회피를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말로 포장해서는 안 된다. 사회적 합의는 광장에서 이미 확인됐다. 만약 여전히 합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그 공론을 이끌어내는 것은 바로 정부의 책무이다. 차별금지법 제정의 의미를 알리고, 사회적 논의의 장을 여는 것이야말로 국가가 해야 할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박정혜 한국옵티칼하이테크지회 수석부지회장은 "차별금지법은 더 이상 소수자의 문제가 아니다. 이제는 우리 모두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며 "이 땅의 평범한 노동자들이, 시민들이 신분이나 지위, 성별이나 고용형태에 따라 차별받지 않도록 헌법적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지금 하늘 위에서 절규하는 노동자의 목소리에 응답하라. 정부는 고공농성 노동자들의 문제를 즉각 해결하고, 반복되는 노동자 차별과 배제를 막기 위한 차별금지법을 조속히 제정하라"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