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아리셀 참사 1주기 현장 무초 위령제 개최

[뉴스클레임]
화재 후 1년, 참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위험의 외주화는 계속되고, 노동자의 죽음은 계속되고 있다. 여전히 먹먹함과 슬픔, 분노가 교차되는 6월이다.
24일 오전 경기도 화성시 아리셀 화재 사고 현장에서 '아리셀 참사 1주기 현장 추모 위령제'가 열렸다.
이날 추모제에는 경기도와 화성시 관계자들은 비롯해 정청래 국회의원 등 정계 인사들이 잇따라 방문해 유족들을 위로했다.
지난해 6월 24일 일차전지 제조공장인 이곳에선 리튬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사망자 중 18명은 중국과 라오스에서 온 이주노동자였다. 경찰 수사 결과, 이들은 회사로부터 어떤 안전교육도 받지 못했다. 소화기도 없는 공장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폭발하는 작업장 안에서 세상을 떠났다.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야말로 최악의 참사였다.
유족들은 여전히 거리 위에서 엄중 처벌을 외치는 중이다. 참사 1년이 다 됐지만 아리셀과 에스코넥이 여전히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책임자들의 엄중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집중 서명운동에 돌입한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대책위원회, 아리셀 산재 피해 가족협의회는 "아리셀 참사 이후로도 이주노동자 산재사망, 50인미만 사업장 산재사망은 더 늘었다. 정부 대책은 없고, 참사는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후 1년, 참사 책임자 아리셀 박순관 형사재판이 진행되고 있고, 집단민사소송도 돌입했다. 하지만 아리셀 박순관은 경영책임자가 아니라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오히려 참사로 희생된 고인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천인공노할 짓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대책위원회 등은 "아리셀 박순관 대표이사가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강력한 처벌을 받지 않는다면, 한국 최대의 이주노동자 집단 산재 참사 발생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는 것으로,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지탄을 받을 것"이라며 "쪼개기 경영과 각종 불법으로 점철된 중소기업에서 발생한 23명의 집단 산재 참사에 대해 엄정하고 강력한 처벌이 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