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분석 결과 발표

[뉴스클레임]
국민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당류는 권고기준 이내를 유지하고 있으나 청소년 등 일부 연령층에서는 권고기준보다 초과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질병관리청)를 바탕으로 2019~2023년 우리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트륨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6배 많이 섭취하고 있다고 1일 밝혔습니다.
2023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136mg으로, 저감정책 이전인 2011년 4789mg과 비교했을 때 34.5%(1,653mg) 낮은 수준이었으며, 2019년 3289mg에 비해 약 4.7%(153mg)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 결과는 WHO 권고기준에 비해서 여전히 1.6배 높은 수준입니다.
또한 남자(3696mg)가 여자(2576mg)보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했습니다. 가장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연령은 30~40대로 하루 평균 3389mg(소금으로 환산 시 8.5g)을 섭취했습니다.
특히 하루 평균 섭취하는 나트륨의 50% 이상을 주로 면·만두류, 김치류, 국·탕류, 볶음류, 찌개·전골류 등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가정에서 조리한 밥, 국, 반찬으로 한 끼를 섭취할 때 노출되는 나트륨의 양에 비해 치킨, 피자, 음료 등 음식점에서 한 끼에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하루 평균 당류는 2019년 36.8g, 2023년 35.5g으로 5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각각 하루 총열량의 7.6%, 7.7%를 차지하고 있어 WHO 권고기준 이내입니다.
다만 2023년 여자 어린이·청소년·청년의 당류 섭취량은 42.1~46.6g으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일 총열량의 10%를 초과해 섭취하고 있었습니다.
여자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이유는 탄산음료류 외에도 당함량이 높은 빵류, 과일·채소음료(가당), 아이스크림류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식약처는 설명했습니다.
하루 평균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의 47%를 주로 음료(11.4g), 과자·빵·떡류(5.4g)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에 비해 최근 제로 음료 유행에 따라 음료류로 섭취하는 당류는 9.5% 감소하고 과자·빵·떡류로는 3.8% 증가했습니다.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 탄산음료보다 물을 마시고 간식으로 과자나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가공식품을 구매할 때는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해 당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식품을 구매하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당부한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