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 개최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원 인상 등 요구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진행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 사진=공노총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진행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 사진=공노총

[뉴스클레임]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하 공노총)이 생존권 위기에 내몰린 공무원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국민에게 호소하고 나섰다.

공노총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를 열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비롯해 ▲정액급식비 월 3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5000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를 기준호봉 월급액의 60%로 적용 ▲정근수당을 현행 지급률 대비 10% 인상 ▲명절휴가비 지급액 10% 인상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공무원 노동자는 국민의 곁에서 삶을 지키고, 국가를 지탱하는 주축임에도 그들의 삶과 처우에 대해서는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러는 사이 공직사회에서는 '공노비'라는 자조 섞인 한탄과 함께 누구보다도 빠르게 공직사회를 이탈하면 '위너'가 되는 게 일상이 돼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는 매년 앵무새처럼 탓만 하지 말고,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에 삶을 들여다봐야 한다. 정부가 공무원의 생존권을 무시한다면 공직사회의 이탈과 외면은 가속화될 것이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피해는 국민이 받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순재 청도군노조 위원장은 "국민을 위한 봉사자의 관심사가 임금 인상액이라는 것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겠지만, 임금이 결국엔 우리의 생존권이 결부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라고 발언했다.

그는 "그동안 120만 공무원 노동자들은 고물가에 역행하는 임금 인상액으로 실질임금은 감소했고, 생존권 위기에 내몰렸다"면서  "벼랑 끝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공무원 노동자의 손을 이제는 정부가 맞잡아야 한다. 정부는 공무원이 자신의 생존을 걱정하는 것이 아닌 국민의 행복한 내일 만들기를 걱정하는 공직사회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