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경찰 동원해 노숙농성 물리적 봉쇄"
대책위 상황실장 찰과상 입어
"이재명 정부의 반노동적 태도 규탄"

사진=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사진=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뉴스클레임]

1박2일 농성에 나선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경찰의 총리 공관 앞 농성 봉쇄를 비판하고, 이재명 정부의 반노동자적 태도를 규탄했다.

대책위는 22일 성명을 내고 "땅바닥에 몸을 뉘인 우리의 분노는 결코 꺼지지 않을 것이다. 정부가 계속 약속을 어기면, 우리는 싸울 수밖에 없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1일 밤 진행된 농성에는 약 30여 명의 대책위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총리공관 앞에서 스티로폼 깔개 없이 종이박스만을 깔고 노숙하며 정부의 약속 이행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김충현 협의체 구성에 대한 약속 이행을 요구했으나, 답이 없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1인 텐트를 실은 노조 차량이 '시위 물품 반입'이라는 이유로 가로 막혔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대책위 상황실장은 찰과상을 입기도 했다. 

대책위는 "김충현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현장에서 동료들을 붙잡고 '대책 마련하겠다'고 했던 정부, 그 약속은 죽은 자 앞에서만 존재했다"며 "시간이 지나자 권력은 살아남은 자들을 철저히 외면했다. 마침내 길바닥에서 자고 있는 우리를 가해자로 대하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은 산재 예방을 강조하고 있지만, 김충현의 영정 앞에서 한 약속조차 지키지 않는 정부를 어떤 기업이 두려워하고 어떤 노동자가 신뢰하겠느냐"며 "총리는 공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대책위와 공식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경찰의 대응에 대한 사과도 함께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가 계속 약속을 어기면 우리는 싸울 수 밖에 없다. 산 자들이 죽은 자의 이름을 들고 싸우지 않으면 이 사회는 다시 노동자의 죽음을 비용으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