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공무원 300명 "임금 6.6% 인상" 촉구
"사람답게 살기 위한 최소 생계비 보장 필요"

[뉴스클레임]
"사람답게 살고 싶어요. 부담없이 외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임금이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후덥지근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청년 공무원 300여 명은 손팻말을 들었다. "임금 인상",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9급 월급" 등의 문구가 적힌 종이 위엔, 단순한 요구를 넘어선 절박함이 묻어 있었다. 청년 조합원들을 중심으로 정부에 기본급 6.6% 인상을 공식 요구하며 대규모 집회를 연 공무원노조의 모습이었다.
지지부진한 협상에 본격적으로 ‘몸을 일으킨’ 청년 공무원들은 이재명 정부를 향해 명확한 메시지를 던졌다. “물가 인상률에도 못 미치는 봉급으론 더는 못 견디겠다.”
발언에 나선 이해준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정부가 노동의 대가를 외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공무원의 임금이 매년 물가 인상률만큼도 오르지 않는다면, 이는 곧 실제값이 줄어든 것이고 결국 ‘현실적 임금 삭감’”이라고 표현했다.
뒤이어 발언에 나선 이겨레 민주노총 청년특별위원장도 강경했다. “9급 공무원의 월급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한다",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임금이 보장되어야 한다. 생존이 아닌 삶을 위해 정부가 응답해야 한다.”
2025년 법정 최저임금은 시급 1만30원으로 월 환산 시 209만6270원(209시간 근무 기준)이다. 9급 1호봉 공무원의 월 기본급은 200만900원이지만, 이는 세전 금액이고 각종 공제(건강보험, 국민연금, 소득세 등)를 고려하면 실제 실수령액은 약 150만~190만 원 선으로 떨어진다.
여기에 정근수당 등 수당이 포함될 경우 총 보수는 약 월 269만원대까지 오르지만, 기본급만으로는 최저임금 월 환산액에 못 미친다는 점이 청년 공무원들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다.
공무원노조가 요구한 2026년도 기본급 6.6% 인상안은 단순 수치가 아니다. 청년 공무원들의 발언도 단순한 민원이 아니었다. '생존을 위한 절규' 그 자체였다. 참가자 대부분은 20~30대로, 입직 1~3년차 재직자들이었다. “공무원 되면 안정적 삶이 기다릴 줄 알았다”는 기대로 시작했지만, 현실은 ‘생활고 탈출’을 위한 재취업 고민까지 겪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집회는 단순한 구호 외침에서 멈추지 않았다. 참가자들은 자필로 쓴 요구서와 항의 엽서를 국무조정실 산하 국정기획위원회에 우편으로 제출하며, 직접 정부와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하진 못했지만 각자의 자리에서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이들도 있었다. 공무원 A씨는 "월급으로 월세를 내고 나면 거의 남는 게 없다. 수도권이라 월세가 비싼 것도 있지만 너무 빠듯하다. 친구들과 밥 한 끼 하기도 부담되니 실질적 삶의 질은 여전히 낮다"고 전했다.
또 다른 청년 공무원 B씨도 "업무 강도가 높은 데 반해 점심, 저녁 값조차 아껴야 할 정도"라며 "거리로 나선 청년 공무원들, 각자의 자리에서 목소리를 내는 청년 공무원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어주고 반영해서 임금 인상을 해줬으면 좋겠다.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청년 공무원들은 더 이상 '안정된 직장'이라는 이미지 속에서 희생을 감내하지 않는다. 하루 9시간 이상 복지·민원 창구를 지키는 노동의 가치는 이제 격려로는 위로되지 않는다. 집회에 모인 이들은 특별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이다. ‘월급으로 끼니를 챙기고, 가끔은 가족과 외식을 할 수 있는 삶’을 요구하는 청년 노동자일 뿐이다.
이들의 외침이 단지 공무원 사회의 문제로 그쳐선 안 된다. 이것은 '청년 노동의 현실'에 대한 경고이며, 공공서비스의 미래를 위한 근본적 질문이기도 하다. 정부는 이제 응답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