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자산만 154조, 관리체계 시급… 금융업계 실버사업 확장, 복지정책 과제 부상

[뉴스클레임]
16일 금융권·정부·복지 전문가에 따르면, 고령가구의 약 80% 이상이 실물자산(부동산)에 집중되어 세대 간 양극화와 빈곤 문제가 동시에 심화되고 있다. 서울 금천구 김모(76)씨는 "5억원짜리 집은 있지만 월 60만원 연금으로 관리비와 생활비 90만원을 감당할 수 없다. 집을 팔자니 갈 곳이 없고, 유지하자니 생활이 막막하다"고 토로한다.
한국은 시니어 자산 총액 4307조원 시대를 맞았지만, 노후 불안정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 순자산은 5억2000만원이지만, 85%가 부동산에 묶여 있고 금융자산 비중은 1%도 되지 않는다. 강남구 최모(68)씨는 "28억원짜리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팔아 17억원 작은 집으로 옮겼다. 국민연금 170만원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어쩔 수 없었다"며 현실을 털어놨다.
KDI 연구에 따르면, 청년층은 부채로 주택을 구입하고 고령층은 금융자산을 축적하는 구조에서 자산 불균형이 심화된다. 70~74세 고령자의 75%가 거주용 부동산을 보유하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현금 없는 부자" 상황에 놓인다.
치매 노인 124만 명이 보유한 '치매머니'는 154조원, 2050년에는 488조원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자산 동결과 관리 사각지대가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공공후견·신탁제도 등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
금융업계는 "액티브 시니어 확산과 자산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실버사업 확장에 나섰다. 은행들은 시니어 전담 창구, 연금·요양 상품, 주택담보연금 등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집을 담보로 대출받는 것도 무섭고, 집값 떨어지면 지분 전체를 잃을까 봐 꺼려진다"는 목소리가 크다.
시니어 자산의 효율적 활용과 빈곤·치매 취약계층 보호는 한국 사회 지속가능성의 핵심 과제가 됐다. 부동산 편중 구조 해결 없이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더 큰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