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성동·광진 뒤이어 33주 연속 상승, 신고가 행진 확산
공급 병목·정책 엇박자 겹치며 시장 혼란과 선거 변수로

33주째 이어진 상승세 속에 서울 비강남권 아파트값이 신흥 급등지로 부상하며 시장 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뉴스클레임DB
33주째 이어진 상승세 속에 서울 비강남권 아파트값이 신흥 급등지로 부상하며 시장 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뉴스클레임DB

[뉴스클레임]

서울 아파트값이 마포·성동·광진을 넘어 은평·동대문까지 급등하며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3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비강남권 ‘한강벨트’와 신규 상승지역이 힘을 받으며 정책 혼선, 공급 병목, 실수요 혼란까지 동반하고 있다.

25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중순 성동구는 0.41%, 마포구 0.28%, 광진구 0.25% 등 주요 지역이 신고가와 거래 이슈를 동시에 안고 있다. 강남3구와 용산의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사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강남권 단지에 집값 상승세가 집중됐다. 특히 동대문구의 경우 추석 전후로 1억원대 급등 거래가 이어지고, 은평구 역시 신규 수요 유입과 대출 규제의 '풍선효과'로 급등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매물 부족,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신호, 신규 공급 지연, 그리고 한강벨트 내 매수세 분산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비강남권 ‘마성광’에 이어 거래 신고가가 잇따라 경신된 ‘은동’까지 분위기가 퍼지면서, 시장 전체의 내성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부와 서울시는 정책 해법을 놓고 심각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정부는 9월 대책을 통해 강남권 및 과열 지역의 규제 확대와 신규 토지거래 허가제 도입 검토 등 강경책을 예고했다. 반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공공주도 공급만으로 한계가 명확하다”며 재건축·재개발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민간 재건축 추진과 공급 병목 논란, 그리고 도심 내 핵심지역 소형 단지 분산 정책이 서울시 주요 부동산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 혼선과 현장 혼란은 내년 지방선거 표심 변수로 급부상한다. 정책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시장 신뢰, 규제완화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며, 지역별 유권자와 실수요자의 온도차가 여전하다. 시장에서는 거래 둔화 속에 고가 신고가가 반복되면서 혼란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