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 1471.9원 찍은 뒤 낙폭 확대… 구두개입에 상승세 제동
단기 진정 속 변동성 리스크는 여전… 시장 긴장감 지속

14일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으로 장중 1470원을 넘었던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진정되며 1450원대 중후반에서 움짐였다. 뉴스클레임DB
14일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으로 장중 1470원을 넘었던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진정되며 1450원대 중후반에서 움짐였다. 뉴스클레임DB

[뉴스클레임]

14일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에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빠르게 꺾였다. 장중 1470원을 넘었던 환율은 정부의 개입 신호 이후 오후 2시 10분 기준으로 1450원대 중후반에서 움직였다.

이날 정부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 경제수장이 서울정부청사에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환율 불확실성 확대에 강한 우려를 나타내자 투자심리가 빠르게 진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 초반 1471.9원까지 올랐으나, 당국의 시장 안정 의지 표명 이후 오후 들어 2시 10분 기준 1450원대 중후반까지 내려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같은 변동성의 배경에는 미국 증시 급락, 엔화 약세,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순매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전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1.65% 하락했고, S&P500과 나스닥도 각각 1.66%, 2.29% 하락했다. 위험자산 기피 심리가 커지며 원화 가치에 하방 압력이 가해졌다.

달러인덱스가 전장보다 0.32% 하락한 99.233을 기록하며 약세를 나타냈지만, 엔/달러 환율이 154.63엔까지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 통화의 동반 약세가 원화 흐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외환당국은 “시장 참가자들의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될 수 있다”면서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시장 안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경제수장들은 해외투자 확대가 외환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킨 점을 진단하고, 구조적인 외화 수급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원/엔 재정환율도 100엔당 945.68원으로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해소되지 않는 한, 환율의 높은 변동성도 쉽게 가라앉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