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학교비정규직 총파업 선포 “악덕 시도교육청 규탄”
비정규직 차별 철폐, 근속수당 대폭 인상 등 요구

12일 오전 진행된 학교비정규직 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사진=여성노조
12일 오전 진행된 학교비정규직 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사진=여성노조

[클레임노동=김동길 기자] 민주노총 총파업(10월 20일)이 일주일을 앞둔 가운데 학교 급식 및 돌봄, 상담 등 교육복지와 행정사무 및 시설관리를 담당하는 교육공무직(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 돌입을 공식 선포했다. 이들은 86.7%라는 압도적 찬성률을 확인하고 총파업을 선언,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외치고 시도교육청을 규탄하겠다고 예고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오전 ‘학교비정규직 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파업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비정규직 차별해소와 처우개선에 대한 의지가 없는 시도교육청을 규탄한다. 민주노총 총파업의 중심에서 대선판에 던지는 노동자들의 외침이 되고자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주요 요구안으로 ▲학교부터 비정규직 차별 철폐 ▲근속수당 대폭 인상 ▲명절휴가비 차별 철폐 ▲국가인권위, 정부 공무직위원회 권고 이행 ▲처우개선 수당 차별 없이 지급 등을 제시했다.

이들은 “고용불안과 저임금 비정규직의 양산으로 사회 양극화, 불평등의 긴 터널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비정규직 차별은 문재인 정권의 노동존중 배신과 공정이라는 기득권 세력의 담론 속에 방치됐다”며 “어느새 노동은 부질없는 노력으로 치부되고 있다”고 말했다.

12일 오전 진행된 학교비정규직 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사진=여성노조
12일 오전 진행된 학교비정규직 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사진=여성노조

특히 시도교육청을 규탄하며 총파업 전 교섭을 통해 타결을 위한 노력을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연대회의는 “지난 8월 10일부터 2개월여에 걸친 교섭에서 시도교육청들이 주도하는 사측의 무성의와 무책임만을 절감하며 또 다시 투쟁만이 길임을 확인했다”며 “특히 폐암산재 사망 등 죽음의 급식실 문제가 국감에서까지 이슈가 됐지만, 시도교육청들은 급식실 위험수당이나 배치기준 개선 등에 대한 대책 요구에 화답하지 않고 논의조차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총파업 전이라도 교섭을 통해 시도교육청이 타결을 위한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 단번에 어렵다면 내년까지 내다보는 차별 해소 방안이라도 적극 교섭해야 한다”면서 “시도교육감들이 모범 사용자로서 사회적 책임감이 있다면, 차별적 인식과 서열의식을 벗어던지고 교섭에 나서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