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임노동=김동길 기자]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전환한 이후 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는 3000명대를 기록하고, 위중증 환자는 500명을 넘어섰다.
병상 가동 문제마저 점차 심각해지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병상 부족 등은 새로운 문제가 아닌데도 정부의 대처가 매우 늦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내세웠다.
전국 의료 및 시민사회단체들이 연합한 ‘불평등끝장2022대선유권자네트워크(이하 불평등끝장넷)’은 22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병상·의료인력 확보와 함께 대선후보들에게 공공의료 강화 정책 공약을 주문했다.
불평등끝장넷은 “단계적 일상회복 선언 후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폭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 의료시스템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으며, 현장 의료진들은 번아웃을 겪고 있다”며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와 더불어 대선후보들은 공공의료 강화 정책 공약을 밝히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최규진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인권위원장은 고령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병상과 인력만이라도 확보해 놓고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규진 위원장은 “약 1년 전이나 지금이나 병상을 기다리다가 코로나19 환자가 숨졌다는 기사를 접하고 있다”며 “현재 상황은 1년 전보다 더 심각하다. 제대로 된 인력확충도 없이 시행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고위험군인 고령층과 사회적 약자들의 생명은 위태로워지고 있다”고 개탄했다.
그는 “이제 ‘중환자실서 사망자 나와야 들어갈 상황’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며 “의료인력과 장비가 없어 실제로는 환자 한 명도 못 받고 있다. 정부는 ‘병상 가동률이 아직 몇 % 남아있다’라는 말도 안 되는 말을 집어치우고 지금 당장 인력과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 이 순간에도 사람이 죽고 있다”며 “정부와 국회, 대선후보들은 지금이라도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고통 받고 있는 시민들을 위한 공공의료 확충, 지속가능한 방역정책을 담은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 [생생발언] 병상 확보도 무의미 “간호인력 없어요”
- [영상] “죽음을 당연하게 여기는 정부·대선후보… 대책 마련하라”
- [포토] 불평등끝장넷 "정부·대선후보자들, 사회공공정책 강화하라"
- [포토] 정부에 쓴소리 "코로나19 교훈 잊어버렸나"
- [포토] 불평등끝장넷 '병상·인력 확보 요구' 기자회견
- [포토] 위드코로나 속 거세지는 '의료인력 확보' 요구
- [포토] "대선후보자들, 공공의료약속 내놓아라"
- [까칠 칼럼] ‘청년희망 ON’ 부작용 없을까
- [잡채기 칼럼] “알바생은 아프다”
- 멈추지 않는 간호사 죽음 “노예계약·태움·괴롭힘이 문제”
- [사설] 정부는 보건의료인력·공고의료 확충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