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그룹이 앞으로 3년 동안 4만6000개의 ‘청년’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청년희망 ON 프로젝트’에 협조하기 위한 고용계획에 따른 것이다. 김 총리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만나 ‘청년희망 ON’ 협약을 맺었다고 했다.
이로써 6개 대기업이 창출하는 청년 일자리는 17만9000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KT 1만2000개 ▲삼성 3만 개 ▲LG 3만9000개 ▲SK 2만7000개 ▲포스코 2만5000개, 여기에 현대차 4만6000개 등이다.
이들 기업이 채용하기로 약속한 기한은 모두 ‘3년’이라고 했다. 3년 사이에 18만 개 가까운 일자리가 더 생기는 것이다.
김 총리는 ‘청년희망 ON’에 협조한 대기업들에게 ‘감사’를 표했지만, 기업의 고용은 기업이 투자계획과 자금계획 등을 고려해서 결정할 일이다. 삼성그룹의 경우, 당초 4만 명의 채용계획을 밝히고 있었다. 그런데 ‘청년희망ON’에 ‘적극’ 협조하면서 이를 7만 명으로 늘리고 있었다. 당초 계획보다 3만 명이 늘었다.
기업들이 직원을 채용하면 당연히 ‘월급’을 지급하지 않을 수 없다. 기업으로서는 ‘인건비 지출’이다.
삼성그룹이 추가로 확대하기로 한 3만 명에게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의 대졸 신입사원 연봉이 4800만 원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를 3만 명에게 적용하면 대충 연간 1조4000억 원이다. 그만큼의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요즘 같은 취업난에 ‘굴지의 대기업’에 입사했는데 쉽사리 그만둘 리는 없다. 그러면 해마다 비용이 지출될 수 있다. 그것도 연봉이 오르는 것을 감안하면 가중될 비용이다. 6개 대기업이 모두 그럴 수 있다.
기업은 ‘이익’을 내기 위해서 장사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청년희망 ON’에 따라 고용된 직원이 모두 높은 ‘생산성’을 발휘하면 문제될 게 없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기업들은 ‘상생’ 등을 위해서 지출하는 돈이 많은 현실이다.
기업의 이익이 줄어들면, 이는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하면 ‘불특정다수’의 투자자가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이익이 더욱 줄어들 경우에는 신용등급이 깎일 수도 있다. 그러면 기업은 자금조달 금리가 올라갈 수 있다.
자금조달 금리가 높아지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투자도 따라서 위축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고용을 확대하기는 힘들어질 수 있다. 지금은 ‘청년희망 ON’에 협조, 고용을 늘리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용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지도 모르는 것이다.
또, 기업이 악화된 이익을 만회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전가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그럴 경우는 중소기업의 고용 창출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제품가격 인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소비가 위축되면서 판매가 부진해질 수 있다. 이는 경제 전체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
기업이 스스로 결정해야 바람직할 고용에 정부가 끼어들 경우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이다.
주요기사
- [영상] 박초롱 공식입장, 위기에서 반전으로… 에이핑크 컴백 가능할까
- 장애계 “비장애 중심 사회를 탈탈 털자”
- 맛·품질은 기본… 이제 대세는 ‘디자인’
- [영상] 추위도 막지 못한 분노… 노량진수산시장 상인들 “대화 바란다”
- [영상] 서울시에 맞선 요양보호사 “독감접종 예산 삭감 이해 안 돼”
- 디지털경제연합 "무리한 '온라인 플랫폼 규제' 신설 추진 중단해야"
- [생생발언] 1년 전 상황 반복… 예견된 ‘불안한 병상 수급’
- 은행들 이자 장사
-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연 0.75%에서 0.25p% 올린 연 1%
- 대출이자 가장 낮은 은행은? 은행별 대출금리 비교
- 은행들 줄줄이 예‧적금 금리 인상… 주식 시장은 이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