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채 "국립대병원 인력 정원확대 요구"
국립대병원노동조합 공동투쟁 연대채(이하 연대체)가 기획재정부를 규탄하며 국립대병원 인력 정원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연대체는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상과 인력대책 없이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으로 인해 의료대응 역량은 한계치를 초과했다. 의료 인력과 현장은 최악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립대병원의 안정적 인력충원을 강조하며 “현장에서는 파견간호사와 같은 임시방편이 아닌 인력증원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파견간호사 중심의 인력대책만 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국립대병원 코로나19 위중증환자 중환자실 병상 확보는 요구하지만 치료인력에 대한 대책은 없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일반환자 중환자실과 일반병동을 축소운영하면서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 정재범 부위원장은 “최근 코로나19 사태가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을 더욱 옥죄고 있다”며 “현장에선 ‘사람들이 없으니 3~4월은 피해서 아프자’라는 말까지 나온다. 의료체계가 붕괴되고 적은 의료 인력으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더 늦기 전에 국립대병원은 중환자 간호사 교육훈련과 인력을 확대해야 하고, 정부는 병원노동자들이 환자의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병상 확충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코로나19 위중증환자 증가에 따른 병상 부족 문제와 관련해 “국립대병원은 의료 역량을 코로나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적으로 투입해주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지시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밝혔다.
문 대통령은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공공병원 중 가능한 경우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하고 공공병원이 코로나 진료에 집중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진료차질과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립대병원 등 민간병원은 적극적으로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공공부문 의료 인력을 코로나 환자 진료에 최대한 투입해 달라”면서 “최소한의 필요 인력을 제외한 코로나 진료 관련 전문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를 코로나 중증환자를 진료하는 병원에 배치하라”고 지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