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인수위 앞 영풍석포제련소 폐쇄 촉구 기자회견
영남지역 환경단체가 낙동강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영풍석포제련소를 지목하고 폐쇄 또는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기 정부를 향해서는 영풍석포제련소 문제를 해결해줄 것을 촉구했다.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피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대 인수위에 바란다. 낙동강 유역 주민들도 안전한 수돗물을 먹고 싶다”고 밝혔다.

공대위에 따르면 낙동강 최상류에 영풍석포제련소라는 아연제련공장이 있는데, 이 공장에서 연간 40여만톤의 아연괴와 70여만톤의 황산이 생산된다. 아연을 제련하면서 나오는 황산과 카드뮴은 공장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다시 낙동강으로 흘러들었고, 카드뮴과 비소·납·아연 등 중금속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 낙동강을 오염시켜왔다.
공대위는 “영풍제련소는 2014년 제3공장을 불법으로 건축해 14억600만원의 이행강제금 납부만으로 공장을 합법화했다. 2018년에는 정수되지 않은 70여톤의 폐수 불법 배출과 폐수 배출시설의 부적정 운영으로 2021년 조업정지 10일을 집행당했다”며 “물환경보전법 위반 등으로 조업정지 2개월 행정처분을 받아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 중에 잇는 무법처지의 기업”이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영풍석포제련소의 1, 2공장은 오염의 한계를 훨씬 넘어섰다며 ‘무방류시스템’이나 ‘오염 지하수 유출방지 공사’로는 도저히 주변 환경을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비판했다. 무엇보다 제련소가 위치한 곳은 1300만명이 살고 있는 낙동강의 최상류로서 최악의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어 이제는 낙동강을 떠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대위는 “이러한 이유로 영풍석포제련소는 낙동강에서 떠나야 한다. 또한 윤석열 정부는 이러한 심각한 사태를 제대로 인식하고, 영풍석포제련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