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반대 국제 공동행동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진행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반대 국제 공동행동’. 사진=환경운동연합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진행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반대 국제 공동행동’. 사진=환경운동연합

[뉴스클레임]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저지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6월 8일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반대하고, 이를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 철회하라’를 주제로 국제 행동을 진행했다. 이번 국제 행동은 ‘핵없는세상을위한맨하탄프로젝트’를 포함한 미국의 시민단체들과 연대해 진행됐다. 미국의 시민단체 4곳은 오는 11일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등에서 온라인 행사 및 집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공동행동은 “일본 정부의 계획에 의하면 1년 뒤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가 바다에 버려진다. 수많은 방사성 물질을 물로 희석해 30년간 바다에 버리겠다고 하지만,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총량은 변함이 없다”며 “해양 생태계가 어떻게 파괴될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온갖 미사여구로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정당화하려 하지만, 어떤 말로도 바다를 향한 핵테러를 포장할 수 없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철회하고, 지금까지 바다에 버려진 방사성 오염수에 대해서도 책임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은형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CPTPP 가입 전제로 후쿠시마산 농수산물 수입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에 반대하고, 나아가 농축수산업인들의 생존권과 우리의 식량 주권을 지키는 투쟁에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윤미향 의원은 “2019년부터 국민 대다수가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반대해 오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아직까지도 책임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가 1년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국제공조의 노력이 더 가열차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