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낙동강 주변 공기 중 남세균 독소조사 결과 발표

[뉴스클레임] 먹거리, 수돗물에 이어 이제는 숨 쉬는 공기마저 오염됐다. 낙동강 주변 공기 중에서 간 독성과 생식 독성을 가진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 독소가 다량 검출돼 건강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와 국회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인근 지역 공기 미세먼지에서 남세균 독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2일까지 낙동강 주변 14곳에서 물·공기 시료를 채취해 남세균 독소를 분석했다. 조사 및 분석은 부경대와 경북대에서 많았다.
분석 결과, 경남 합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5337ppb(㎍/L)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낙동강 화원유원지 부근에서는 336ppb가 검출됐다.
공기 시료 중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 ㎥당 최소 0.1ng/㎥에서 최대 6.8ng/㎥까지 검출됐다. 경남 김해시 대동 선착장에서 6.8ng/㎥, 본포생태공원에서 4.69ng/㎥, 화원 유원지에서 3.68ng/㎥가 검출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낙동강 본류에서 1.17km 떨어진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옥상에서 채집한 공기에서도 1.88ng/㎥ 농도의 마이크로시스틴 독소 검출됐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유해 남세균이 공기 중 에어로졸을 타고 내륙으로 이동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이미 나왔으나 중앙정부, 지방정부는 모두 이를 외면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강변에 대규모 개발만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해 남세균 에어로졸에 따른 2차 피해도 우려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들은 “공기 중으로 확산하는 남세균은 토양에 떨어져서도 살아남는다. 또 공기 중에 퍼진 유해 남세균과 남세균 독소가 정수장으로 유입될 수 있고 가축 사료에 떨어질 수 있다”며 “4대강사업이 생명 유지의 필수 조건을 모두 유해 남세균으로 오염시켰다” 비판했다.
이어 “낙동강 권역 주민들은 10년 동안 지속된 녹조에 따라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이는 정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무를 방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윤석열 정부는 4대강 보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녹조 문제 전체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하고, 민간단체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위험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 [잡채기 칼럼] 정치판 ‘팬티 싸움’… 세금 아깝다
-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윤석열 정부, 반노동 정책 멈춰야”
- “죽음의 잔치, 전쟁 장사 멈춰라”
- ‘여성노동자’ 누구라도 죽임 당할 수 있다
- 한국타이어, 방위산업전서 비공기입 타이어 선봬
- [정의로운 전환①] ‘노동전환지원법’ 제정 촉구
- [정의로운 전환②] "노동집약적 산업 종사 노동자, 생존권 위협받는다"
- [클레임만평] 윤석열 정부의 외교정치
- 넥슨컴퍼니 채용형 인턴십
- [생생발언] 영빈관 878억원, 사립대 강사들에 쓰였다면…
- [생생발언] 이수진 “노동전환지원법 제정에 최선”
- [영상] 노동자 배제 없는 ‘정의로운 전환’ 실현을
- 공공운수노조 “국가책임 포기 및 민영화 규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