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뉴스클레임]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노동당 장애인위원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 등은 “장애인의 63%가 비경제활동인구인 현실을 바꾸기 위해선 장애인고용부담금을 사업체별 평균임금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이들 단체는 “노동권은 모든 국민들에게 차별 없이 보장돼야 한다. 국가는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을 보장해야 하고, 특히 장애인들이 노동할 수 있는 공간과 환경,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장애인고용부담금 현실화 및 국가책임-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쟁취를 위한 기자회견’. 사진=노동당
그러면서 “장애인 노동자들이 차별받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국가를 만들어 내야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또 한국사회에서 당당한 공동체 일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