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뉴스클레임]

30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확정안을 논의하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가 열리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항의행동을 벌였다.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이하 무상의료운동본부)는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플랫폼 의료 민영화를 위해 건강보험 재정을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윤석열 정부 복지부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수가를 대면진료의 130%로 제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건강보험 재정 낭비를 초래할 비대면진료 130% 수가 책정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 앞에서 열린 '플랫폼 의료민영화 위해 건강보험 재정 퍼주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이들은 또 "비대면진료가 만연해지게 되면 플랫폼 기업이 의료시장을 좌지우지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안 그래도 심각한 과잉진료와 상업적 의료행태는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전방위적 민영화로 건강보험이 위기이고 의료 전체가 위기이다. 복지부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해 코로나19 이후 무엇부터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하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