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뉴스클레임]

환경운동연합이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열린공간에서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이번 보고서는 전국 242개 지자체가 지난해 10월 24일부터 1년 간의 계도기간을 두고 시행 중인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책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또한 지자체별 1회용품 사용 감량 대책을 점검 및 평가했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책은 지난 2022년 11월 24일 본격 시행 예정이었다. 그러나 환경부가 돌연 1년 간의 계도 기간을 두기로 결정해 논란이 됐다"고 주장했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열린공간에서 열린 '전국 지자체 1회용품 대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이들은 "본격적인 제도 시행을 2개월 앞둔 지금, 환경부는 지자체가 적극적선도적인 플라스틱 규제와 지역 주민 홍보 및 교육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반과 틀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와 함께 1회용컵 보증금제 시행 지역 축소·1회용품 사용 줄이기 계도기간 등과 같은 자원순환 정책의 후퇴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