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공청회 개최 촉구 기자회견
서울시회서비스원지부 "조례위반하며 시민권리 짓뭉개는 서울시 규탄"

1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공청회 개최 촉구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1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공청회 개최 촉구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서울시사회서비스원에 대한 서울시민의 공청회가 두달 넘게 개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공공운수노조 서울시회서비스원지부(이하 서울시회서비스원지부)가 서울시에 "공공돌봄에 대한 시민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시회서비스원지부는 1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회서비스원 공청회 개최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조례위반을 하며 시민권리르 짓뭉개는 서울시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7월 5일 공청회를 청구했으나 지금까지도 감감무소식이라면서 "공공돌봄 정상화에 대한 이용자,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외면당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시회서비스원지부 오대희 지부장은 "정부가 바뀌고 시장이 바뀌자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서울시장이 임명한 전 비전문가 대표이사는 부임 이후 2년 내내 한 것이라곤 단체협약을 해지를 비롯해 돌봄노동자들을 셀프로 비난해 예산삭감에 영향을 주고 이제 와서 예산삭감을 빌미로 노동권 역행과 후퇴의 협박성 명분을 삼고 있다"고 규탄했다.

오대희 지부장은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서울시회서비스원 모든 책임자들은 현장의 혼란을 알면서도 방치, 방임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위험에 공백 없는 돌봄을 해온 현장 돌봄노동자들에게 돌아온 건 소모품 취급이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서울시회서비스원 1호의 센터이자 방문간호, 방문요양, 장애인활동지원을 함께 운영해 온 유일한 통합 공공돌봄의 거점이었던 성동센터는 방문간호 사업 중단 및 센터 분리조치로 해제될 위기다. 이것이 진행된다면 공공 통합돌봄 실현의 실날같은 꿈은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서울시회서비스원 강동든든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한 학부모는 "얼마나 많은 예산이 추가로 지원이 된다고 서사원을 해체 시키려고 하는지, 보육에 관련된 예산이 낭비로 이어지는 예산이란 말인지 오세훈 시장에게 직접 듣고 싶다"고 했다.

그는 "공공이 책임지겠다더니, 중도에 돌봄이 중단되고 해체되는 것은 아이들과 학부모들에게 너무 참담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공청회를 통해 학부모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 진보니 보수니 하는 정책의 저울질을 떠나 아이들을 위한 공청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