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뉴스클레임]

빈곤에 맞서 투쟁하는 철거민, 노점상, 장애인, 홈리스, 청년, 노동자들이 '빈곤철폐의 날'을 맞아 정부와 서울시의 기만적인 약자복지를 규탄했다.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017 빈곤철폐의날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빈곤과 불평등은 시혜와 동정의 약자복지나 구호와 원조로 해결할 수 없다. 빈곤을 만든 시스템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조직위는 "오늘은 UN이 정한 제31주년 세계 빈곤퇴치의 날이다"라며 "한국은 코로나19 시기 경제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전체 빈곤율이 15%로 높고 3명 중 1명의 노인이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불평등한 사회입니다. 팬데믹이 초래한 재난 비용은 고물가, 고금리, 공공요금 인상 등 민중들에게 청구되며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또 "일상화된 기후위기는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타고 가난한 이들에게 재난 참사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는 기후위기와 재난 참사를 토건개발의 가속화를 위한 명분으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1017 빈곤철폐의 날 기자회견'. 사진=빈곤사회연대

이들은 "기만적인 약자복지를 거부하고 필수적인 사회서비스의 보편적 보장을 위해 시장화된 사회서비스 영역의 재공영화, 주거와 같은 필수재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싸움에 나설 것"이라며 "기만적인 약자복지를 반대한다. 차별과 동정이 아닌 가난한 이들에게 권리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