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뉴스클레임]

5일 오후 서울, 인천, 수원, 대전, 대구, 부산 등 6개 지역에서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피해자들은 한데 모여  전세사기, 깡통전세 문제 해결에 의지 없는 국회를 규탄했다.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전세사기·깡통전세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대책위원회는 이날 동시다발 집회를 열고 "피해자들이 전세사기와 깡통전세라는 지옥에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국회가 조속히 특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이들은 "정부와 지자체들은 전세사기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피해 지원을 하는 것처럼 생색을 내고 있지만, 피해자들의 일상은 변한 게 없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조건으로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신탁 사기 등의 피해자들은 피해자로 인정받아도 이용할 수 있는 지원 대책이 없다"고 주장했다.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이어 "5월에 제정된 전세사기특별법은 6개월의 운영을 거쳐 보완입법을 추진하기로 정한 바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구제 후회수’ 방안을 비롯해 다양한 유형의 피해자들을 폭넓게 포괄할 수 있는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5일 오후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 동시다발 집회가 열렸다. 사진=빈곤사회연대

이들은 또 "국회는 피해자들을 외면하지 말고, 제대로 된 특별법 개정을 위한 논의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정쟁말고 민생이라고 말만 하지지말고 지금 쓰러져가는 삶을 일으켜세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