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유독가스에 중독돼 1명이 숨지고 3명이 부상한 경북 봉화군 영풍석포제련소 사고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영풍 석포제련소 사망사고는 ‘국감 개근’ 악질 기업을 수수방관한 정부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선다윗 상근부대변인은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10년간 8번이나 국정감사에 불려 나오고, 10년 동안 법령 위반 사례가 70건을 상회하는 등 지역사회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악질 기업'이다. 심지어 환경부는 지난해 제련소 곳곳에서 오염물질이 새어 나갈 틈이 발견되었다며 내년까지 밀폐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국은 이미 위험 요소를 확인했음에도 해당 기업에 조건부 통합환경허가를 승인해 줬다"고 지적했다.
그는 "1급 발암물질 카드뮴을 낙동강에 뿌리는 '8년 국감 개근' 기업임에도 안일하게 대처한 당국의 무책임하고 부실한 사후관리가 참변을 초래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면서 "언제까지 우리나라에서 국민이 먹고살기 위해 일하다가 죽어 나가는 일이 계속돼야 하겠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지금도 어딘가에서는 노동자들이 위험천만한 노동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정부는 각성하고 제 역할에 충실하라. 환경부를 포함한 각 정부 부처는 무책임한 관성을 버리고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는 본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석포제련소 근로자 2명과 협력업체 근로자 2명은 지난 6일 불순물을 담은 탱크 모터를 교체하던 중 복통·호흡곤란 증세를 보여 병원에 이송됐다.
이 중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 A씨는 지난 9일 끝내 숨졌다.
A씨의 몸에서는 치사량(0.3ppm)의 6배가 넘는 2ppm의 비소가 검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