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악성 민원 여부 대한 진상조사에 나서야"

학교 급식실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학교 급식실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뉴스클레임]

임용 4년차를 갓 넘긴 현직 영양교사가 휴직 후 학교 복직 4일을 앞두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이와 관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고인을 애도하며 진상규명과 책임 있는 조치, 재발 방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전교조는 2일 애도 성명을 통해 "안타까운 선택으로 생을 달리하신 서울 모 중학교 영양교사를 애도하며 명복을 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실 유가족들에게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해당 교사께서 급식 관련 민원으로 고통받으셨던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교육청은 '외부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구체적 증거가 없어 교권침해 사안으로 조사할 계획이 현재로선 없다'며 진상조사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청의 무책임한 태도에 유감을 표하며, 악성 민원 여부에 대한 적극적인 진상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교육청은 안타까운 교사 죽음에 단 한 점 의혹도 남지 않도록 진상규명과 책임 있는 조치, 재발 방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는 영양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이야기하며 교사 개인에게 구조적 문제를 떠넘긴 것이라는 점에서 교육부와 국회의 책임도 무겁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영양교사의 경우, 36개 학급이 넘는 큰 학교라 해도 1명만 배치된 학교가 많아 근무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끊임없이 제기했다. 그러나 국회는 지난 3월 발의된 '과대 학교 영양교사 2인 이상 배치를 위한 법안'을 1년 가까이 계류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교육 당국은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 전교조는 이번 사안의 철저한 진상규명에 앞장서는 것은 물론, 모든 교사의 생존권과 노동권을 위협하는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