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노조 "30년 일해도 7급 퇴직… 처우 개선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대전지부가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공무원 정원 책정 기준 개선과 구조구급활동비 동등 지급을 촉구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대전지부가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공무원 정원 책정 기준 개선과 구조구급활동비 동등 지급을 촉구했다.

[뉴스클레임]

소방공무원이 30년을 근속해도 6~7급으로 퇴직하는 등 일반직 공무원과 격차가 상당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대전지부는 30일 오전 대전시청 2층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85%가 7급 이하 말단 공무원이다. 30년을 근무해도 6급도 아닌 7급으로 퇴직하는 분도 계신다"며 "소방공무원 정원 책정 기준을 일반직 공무원과 동등하게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대전지부는 "일반직 공무원 정원 책정 기준은 6~7급이 50~60% 비율이지만 소방공무원은 20%가 채 되지 않는다. 이는 분명한 차별"이라고 말했다.

올해 정부가 27년만에 소방관 구조구급활동비를 인상했으나 동등하게 지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대전지부는 "현장 인력 중 활동비를 지급받지 못한 비율은 약 30%다"라며 "동일한 출동에 누구는 받고 누구는 못 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구조구급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소방관이 공정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연대 발언에 나선 전교조 김현희 대전지부장은 "정부는 걸핏하면 소방관을 영웅으로 칭송한다. 하지만 그들은 일방적인 희생, 무모한 구호, 안일한 안전대책, 낮은 처우를 강요받고 있다"고 말했다.

소방관의 구조구급활동비에 대해선 "학교에서 인력 공백이 발생해 교사가 보결수업을 하면 누구나 동일한 보결수당비를 받는다. 하지만 소방관은 동일한 출동 명령을 받고 현장에 나갔는데 누구는 활동비를 받고 누구는 받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방관도 노동자다. 죽고, 다치고, 일반직 공무원에 비해 직급 구성에서 차별받고, 사고가 터지면 책임만 떠안는 소방관에게 말 뿐인 영웅 예우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영웅 예우보다 실질적 처우개선, 안전 대책, 인력 충원이 먼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