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충남 석탄 발전소 조기 폐쇄 촉구"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석탄을넘어서 등은 13일 오전 당진화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장 많은 석탄발전소가 자리한 충남이 혼소 전환을 취소하고 조기 탈석탄을 달성할 것을 요구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석탄을넘어서 등은 13일 오전 당진화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장 많은 석탄발전소가 자리한 충남이 혼소 전환을 취소하고 조기 탈석탄을 달성할 것을 요구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뉴스클레임]

환경단체가 정부에 암모니아 혼소 발전 계획을 취소하고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할 것을 촉구했다.

전국 탈석탄 네트워크 ‘석탄을 넘어서’,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등은 13일 오전 당진화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장 많은 석탄발전소가 자리한 충남이 혼소 전환을 취소하고 조기 탈석탄을 달성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산업자원통상부, 충남도청, 석탄발전 사업을 하는 발전자회사 3곳에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산업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충남 석탄발전의 2030년 조기폐쇄 계획을 수립하고, 석탄발전의 수명연장 수단인 암모니아 혼소 계획을 취소하고 ▲충청남도는 석탄발전의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고 ▲서부발전, 동서발전, 중부발전은 충남 석탄발전소의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 확대계획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암모니아 혼소의 문제점은 석탄화력발전기에 20%의 암모니아를 혼소하더라도 나머지 80%는 석탄을 활용해 발전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는 2030년까지 20%의 암모니아 혼소율 적용 이후 2050년까지 석탄 연료의 사용을 수반한 발전을 지속할 예정이다. 그렇기에 여전히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된다"며 "결국 정부의 암모니아 혼조 정책은 무탄소 발전이라는 구호적인 측면의 의미만 있을 뿐 실질적으로는 석탄연료를 주 연료로 활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석탄발전의 수명연장을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발언에 나선 기후위기에너지전환보령행동 이선숙 대표는 보령에서도 석탄발전소가 가스발전으로 전환해 가스와 블루수소를 혼소하겠다는 계획을 지적했다.

그는 "기후위기 대응이나 에너지 전환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며 "암모니아가 발전소 노동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우리 보령의 대기환경에도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 김정진 사무국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최대 단일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하고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하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