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진료 정상화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해야"

지난 12일 오후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2024 보건의료노조 총력투쟁 결의대회'. 사진=보건의료노조
지난 12일 오후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2024 보건의료노조 총력투쟁 결의대회'. 사진=보건의료노조

[뉴스클레임]

전공의 집단사직에 이어 의대 교수, 개원의들이 집단휴진에 나서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이 "의사 집단휴진은 어떤 명분도 정상도 없다"면서 집단휴진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4일 성명을 내고 "전공의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의대 교수들이 환자를 두고 개인 휴가라는 명분으로 포장한 집단 휴진, 그것도 중증 환자와 공공성을 대표하는 일부 대학병원에서 진행하는 무기한 휴진은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필수의료를 살리자면서 당장 치료받아야 할 필수환자들을 팽개친 채 필수·지역·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개혁 대화를 거부하는 것도 명분이 없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또 "진료일만을 기다려온 환자들에게 진료·수술 연기와 예약 취소는 환자들에게 고통이다. 끝없는 문의와 항의에 시달려야 하는 병원노동자들에게도 엄청난 고통"이라며 의사 집단휴진에 따른 진료변경 업무를 거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환자 생명과 건강을 외면하는 의사 집단휴진에 반대하는 병원 노동자들은 일방적이고 무책임한 진료 변경 업무에 협조할 수 없다. 진료 변경 업무를 거부하는 병원노동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사례가 있다면 노조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병원을 향해선 진료 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는 의정 갈등으로 존폐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전공의 수련병원의 진료를 정상화하고, 필수·중증·응급의료를 살리기 위한 확고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병원은 의사 집단휴진을 수수방관하지 말고 진료 정상화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6월 내에 진료를 복귀하는 전공의에게 어떤 불이익도 없게 하는 행정조치를 내놓아야 한다. 전공의 수련 국가책임제와 36시간 연속근무, 주 80시간 장시간노동 등 열악한 전공의 근무여건 개선책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