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부산시민연대 등 "고리 2·3·4호기 영구정지해야"

[뉴스클레임]
7년 전,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핵발전소 고리 1호기가 영구정지됐다. 2017년 고리 1호기, 2019년 월성 1호기에 이어 노후핵발전소인 고리 2·3·4호기도 영구정지의 수순을 밟아갈 것이라 예상했지만,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정책이 이런 기대를 무너뜨렸다.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7년을 맞아 탈핵부산시민연대, 고리2호기 수명연장반대, 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기자회견을 열고 "고리 1호기를 영구정지했듯이 고리 2·3·4호기도 영구정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단체는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는 탈핵 사회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바라보는 부산, 울산, 경남의 시민들이 함께 이뤄낸 결과였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와 핵산업계의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추진 앞에 열망해왔던 핵 없는 안전한 세상을 아직 요원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산업부가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는 3기의 대형핵발전소와 1기의 SMR 건설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의 핵진흥 정책이 이대로 추진된다면 현재 가동 중인 26기의 핵발전소는 2038년이 되면 30기가 가동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만 핵발전에 집착하고 있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부안에서 발생한 규모 4.8의 지진을 언급, "또 한 번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확인했다"면서 고리 2·3·4호기 폐쇄를 거듭 촉구했다.
탈핵부산시민연대 등은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해 폐쇄를 주장하던 정치인들과 부산시는 지금 침묵하거나 정부의 핵진흥 정책에 동조하고 있다. 노후 핵발전소를 수명연장과 신규핵발전소의 추진, 위험한 핵폐기물 문제에 계속 침묵한다면 부울경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내팽개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인 탈핵의 움직임과 RE100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내달리고 있는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폭주를 이제는 멈춰야 한다. 핵발전소는 기후위기의 대안이 아니다. 지금 당장 탈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