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뉴스클레임]

상업용 핵발전소 고리1호기 영구정지 7년을 맞아 고리 2·3·4호기 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탈핵부산시민연대, 고리2호기 수명연장반대, 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고리 1호기를 영구정지했듯이 고리 2·3·4호기도 영구 정지해야 한다. 지금 당장 탈핵해야 한다"고 밝혔다.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이들 단체는 "2017년 고리1호기, 2019년 월성1호기에 이어 노후핵발전소인 고리 2·3·4호기도 영구정지의 수순을 밟아갈 것이라 예상했지만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정책이 이런 기대를 한순간에 무너트렸다"며 "정부의 핵진흥 정책이 이대로 추진된다면 현재 가동 중인 26기의 핵발전소는 2038년이 되면 30기가 가동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이어 "현재 고리핵발전소에서 발생한 고준위핵폐기물은 이미 약 85%가 포화됐고 2031년 완전히 포화될 예정이다"면서 "전국의 핵발전소에서 매년 750여톤의 고준위핵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것을 어디에, 어떻게 보관하고 관리할지 사회적인 합의의 과정들은 실패하고 제대로된 공론을 진행하지 못한 채 쌓여만 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18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7년, 고리 2·3·4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 사진=탈핵부산시민연대

이들은 "노후 핵발전소를 수명연장과 신규핵발전소의 추진, 위험한 핵폐기물 문제에 계속 침묵한다면, 800만 부울경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내팽개치겠다는 것"이라며 "부산 시민의 힘으로 고리 2·3·4호기 수명연장을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