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0주년 철도의 날' 철도노동자 기자회견
철도노조, 4조2교대 인력증원 등 요구

28일 오전 서울역 출입구 앞에서 열린 '제130주년 철도의 날 철도노동자 기자회견'
28일 오전 서울역 출입구 앞에서 열린 '제130주년 철도의 날 철도노동자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6월 28일은 제130주년 '철도의 날'이다. 철도의 의미를 되새기고 철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다. 이날을 맞아 철도노동자들은 국토교통부가 생명·안전업무와 외주·민간위탁업무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하 철도노조)은 28일 오전 서울역 출입구 앞에서 '제130주년 철도의 날' 철도노동자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의 날의 핵심의제는 '다시 안전'이다. 오늘을 맞아 국토교통부가 철도 쪼개기와 외주-민간 위탁으로 달려가는 철도정책을 멈출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생명·안전업무에 대한 기준, 외주·위탁업무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 ▲안전한 철도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위한 4조2교대 인력 증원 ▲감시·처벌이 아닌 사고 예방, 안전확보 중심의 철도안전법 개정 ▲시민편익과 공공성 확대 위한 수서행 KTX운행과 고속철도 통합 ▲기후위기 시대, 이동과 에너지의 대한으로 녹색철도의 확대 등을 요구했다.

철도노조는 "복잡해진 현대사회와 철도 같은 네트워크 산업에서 무재해 100%는 존재하지 않는다.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기 마련이며 대형사고, 중대재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확보, 사고 예방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구조와 조직, 생산시스템의 관점에서 안전 문제에 접근하고 안전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철도안전법령은 노동자 참여에 대한 내용이 부재하며 배타적이다. 노동자 처벌 조항을 법제화한 국가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이런 징벌주의는 사고 원인 규명과 사고로부터의 학습, 예방대책 수립 등을 저해한다"며 "안전확보·사고예방 중심의 안전관리시스템이 절실하다. 사람 중심의 철도안전법 개정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기후위기 시대 속 이동과 에너지의 대안으로 '녹색철도'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기후위기에 맞선 미래, 에너지와 이동의 미래는 지금과 달라야 한다. 녹색철도를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이동과 에너지의 대한으로 활용해야 한다. 기후위기 시대 친환경 공공교통 대안은 철도"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