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사 7338명 서명 전달
전교조 서울지부 "청년 교사 처우개선 촉구"

19일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청년 교사 처우개선 촉구' 전교조 서울지부 기자회견. 사진=전교조 서울지부
19일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청년 교사 처우개선 촉구' 전교조 서울지부 기자회견. 사진=전교조 서울지부

[뉴스클레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이하 전교조 서울지부)가 서이초 교사 사망 1주기를 맞아 청년교사 이탈을 막기 위한 개선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청년 교사들이 교직을 떠나지 않고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서울시교육청을 비롯해 교육 당국 또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19일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내 학교 1022곳에서 교사 7338명의 서명을 받아 서울시교육청에 청년교사 처우개선 요구안을 전달했다.

이들은 "무거운 마음으로 7388명의 서명 결과를 정부와 교육 당국에 전달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하고, 교사가 행복과 보람을 느끼지 못한다면, 교육의 현재와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미래 교육 운운하며 AI(인공지능), 디지털 기기에 수천억을 쏟아 부으면서, 정작 미래 교육을 담당해야 할 청년 교사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은 어디에 있는가"라며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은 청년 교사들을 지원하는 종합적이고 실효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서울교사 1044명이 참여한 '청년 교사 지원 방안' 설문을 바탕으로 청년교사 지원 요구안을 작성했다.

해당 조사에서 대다수 교사들은 청년 교사들이 학교에 빨리 적응하고 저연차 시기에 더 많은 교육적 경험과 연구,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하며,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모든 청년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줘야 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했다.

이에 따라 요구안에는 ▲초임 교사의 업무를 획기적으로 경감, 특히 담임을 하고 있는 경우 다른 학교 업무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고 ▲대학원 등 교육기관 교육비 일부 지원 ▲온라인 기반 교육용 플랫폼 이용료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청년 교사들의 경제적 지원을 위한 방안으로는 ▲저연차 교사들 위한 복지포인트 인상 ▲공공박물관 및 미술관, 고궁 등과 MOU 체결로 무료 또는 할인 입장 지원 ▲청년 교사 주거 지원-전세자금 무이자 대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지원 ▲청년 교사 기본급 인상 및 연구 수당 상 등을 포함한 요구안을 마련했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지금도 늦었다. 정부는 하루 빨리 획기적으로 청년 교사들의 어려움을 덜어야 한다.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은 청년 교사들을 지원하는 종합적이고 실효적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국회와 시의회 또한 법령, 조례와 관련된 제도 개선과 이를 뒷받침하는 예산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