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기후환경단체, 500kV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백지화 요구

[뉴스클레임]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도 시민들이 경기도에 공급될 ‘석탄으로 생산된 전기’를 거부하고 허울뿐인 경기도의 RE100선언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재생에너지 확충을 촉구하고 나섰다.
기후위기경기비상행동, 경기환경운동연합, 강원송전탑반대대책위, 환경운동연합 등 9개 기후환경단체는 20일 오전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민은 석탄으로 만든 전기를 거부한다. 500kV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백지화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외쳤다.
이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과 정의로운 에너지 사용을 위해 ▲전력 수요처인 경기도의 재생에너지의 적극적인 확대 ▲석탄발전소 폐쇄와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 ▲석탄발전을 위한 동해안~수도권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계획 취소를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500kV HVDC 송전선로 사업은 삼척, 울진, 봉화, 정선, 영월, 평창, 횡성, 홍천을 지나 경기도 가평과 양평을 거쳐 수도권(하남)으로 이어지는 송전망이다"라며 "이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장거리 송배전하기 위해 소수의 농민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경기도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명확히 제시했다"면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태양광 12.16GW의 신규 설치가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통해, 우리는 석탄 전기가 필요 없는 경기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후위기경기비상행동 양기석 공동대표는 발언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경기도민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처지에 놓였다"며 석탄전력과 송전선로 건설을 대도시의 전력다소비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포장하는 한전을 비판했다.
서울환경연합 이민호 기후팀장은 "서울에서 왜 송전선로 문제에, 이곳에 참석해 발언하는지 의아하실 수 있다. 그러나 발전소가 없어서, 고압의 송전선로가 지나가지 않는다고 서울의 문제가 아닌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송전선의 건설과 송전망 문제는 전력소비가 많은 지역의 문제이고,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는 "서울의 전력자립도는 2021년 11.3%에서 2022년 8.9%로 감소하고 서울시의 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이 축소되는 동안 삼척에는 석탄발전소가 상업운전을 시작했다"며 "서울시민들은 100% 훨씬 넘는 전력자립률을 가진 도시의 주민들에게 석탄발전과 핵발전의 피해를 강요하고, 갈등과 폭력을 유발하는 송전탑건설을 반대한다. 시민들의 태양광발전의 보조금을 되살리고, 서울이 해야할 일을 당장 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 '경기도 재생에너지 확대하라'[기후위기 악화 석탄발전소 폐쇄]
- 간호사 10명 중 6명 "전공의 업무 강요 받아"
- [잡채기 칼럼] 안세영과 신유빈 ‘주특기’를 맞바꾸면?
- KB리브모바일, SOOP 3대 e스포츠리그 후원 협약
- 국힘 "3차 청문회 강행, 인권유린… 취소 촉구"
- 넥슨, 우수 인재 모집
- 하나은행, '하나 패밀리오피스 원 솔루션' 서비스 시행
- 지금이 가장 시원한 여름? "기후재난, 개인 문제 아냐"
- 퇴직연금 미가입자 예상 자산 '평균 9350만원'
- 코로나19 재확산에 "정부 각자도생 무대응 규탄"
- [오늘 날씨] 9호 태풍 '종다리' 열대저압부로 약화, 전국 대부분 지역 비… 충남서해안·전라해안·경남권해안·제주도 등 강한 바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