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순직 인정, 특수교육 정상화 촉구"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개최된 '인천 특수교사 순직 인정, 특수교육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사진=전교조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개최된 '인천 특수교사 순직 인정, 특수교육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사진=전교조

[뉴스클레임]

인천 특수교사가 격무에 시달리다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이 특수교육 현장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전교조는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순직 인정, 특수교육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달 24일 인천 모 초등학교의 한 특수선생님께서 안타깝게 생을 달리하셨다. 정부는 인천 특수교사의 순직을 인정하고, 특수교육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고인은 생전 과밀 특수학급 문제로 격무에 시달렸을 뿐만 아니라, 교육 당국으로부터 제대로 지원받지 못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전교조는 "고인이 근무하던 학교는 올해 초 특수학급이 감축돼 과밀 특수학급이 됐다. 특수교사도 감원돼 구조적으로 특수교사가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이 만들어졌다. 심지어 최근 교육 당국은 해당 학급에 별다른 지원대책 없이 신규교사를 배치했고, 고인이 지속적으로 요구하던 특수교사 추가 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사안에서 지적된 문제들은 단순히 인천 해당 학교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전국 모든 특수교사가 겪고 있는 열악한 특수교육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들은 "더 이상 이대로 특수교육 현장을 방치할 수 없다. 범정부 부처는 합심해 즉각 특수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인사혁신처는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인천 특수선생님의 순직을 조속히 심의하여 인정해야 한다. 교육부는 특수교육 교원의 법적 정원을 확보해 교원을 추가 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인천청인학교 김정희 교사는 노력해도 나아지지 않는 현실을 토로했다.

김정희 교사는 "무리한 감축, 엄격했던 기준 등은 교사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하지만 여전히 남부교육지원청 관내뿐 아니라 인천시에는 11명 이상까지도 과원인 학교가 있을 정도로 법에서 정한 정원을 준수하지 않는 불법학급이 많다"고 발언했다.

그는 "특수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매달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선정, 배치하고 있음에도 학생의 개별 특성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숫자만 들여다본, 무능력하고 무책임한 교육청이 교사를, 특수교사들을 사지로 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천의 특수교육은 우리 아이들이 안심하고 동네 학교에 다니게 해달라. 과밀학급을 즉시 해결하고, 함께 하는 교육을 만들어 달라.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까지 함께 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