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가사돌봄노동자 정책 관련 공동 기자회견
연대회의 "제대로 된 중장기적 돌봄 정책 당장 수립해야"

[뉴스클레임]
최근 서울시가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종료 이후 이주가사 노동자의 취업활동기간을 연장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주‧노동시민사회가 현 이주가사돌봄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제대로 된 중장기적 돌봄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이주가사 노동자 권리보장을 위한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2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이주가사돌봄노동자 정책 관련 이주·노동·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돌봄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제대로 된 중장기적 돌봄 정책을 지금 당장 수립하라"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그동안 정부와 사업주는 다양한 사업장에서 '이주노동자들은 위험한 환경에서, 싸게 일해도 괜찮다'라는 인식을 고착화해왔다. 이들은 ‘다문화 사회’를 운운하지만, 이주노동자의 사업장 이동의 자유조차 막고 있는 현대판 노예제인 고용허가제를 폐지하기는커녕 더욱 확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돌봄이 ‘인력난’에 놓였다고 하지만, 정부와 자본은 돌봄노동을 기피하는 이유인 민간기관의 난립, 시급제에 기반한 단시간 노동과 저임금의 굴레, ‘돌봄은 여성의 몫’이라는 사회적 편견은 건드리지 않는다. 오히려 2인1조와 월급제, 유급병가, 긴급돌봄 등으로 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던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을 폐지하는 등 ‘공적 돌봄’에 정면으로 역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범사업 그 자체에 관한 문제와 더불어, 진행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첫 달부터 민간업체에 의한 임금체불이 발생하여 이주 노동자들은 생활고를 겪어야 했고, 통금시간을 지정하여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통제하기도 했다. 한 달 40~50만원에 달하는 숙소비 역시 개인이 부담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연대회의는 "노동자의 몸과 마음은 기계가 아니며, 돌봄은 상품이 아니다. 이윤과 비용의 논리로 사람의 값을 매길 수 없다"면서 ▲제대로 된 중장기적 돌봄 정책을 당장 수립하고 ▲돌봄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조건을 이주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고 ▲이주 돌봄 노동자에 대한 최저임금 미만의 임금 지급 논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정부와 업체는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가로막는 노동자 통제를 중단하고 ▲정부는 이주 노동자의 노동권과 안전한 체류권을 보장하고, 인권침해 방지 및 권리 보장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며 ▲안정적이고 좋은 돌봄이 가능하도록 모든 돌봄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이주 가사돌봄 노동정책 수립하라"[돌봄 공공성 강화 촉구]
- 민주노총·시민 3만2303명 "특수고용노동자 배제 폭염 대책 반대"
- [잡채기 칼럼] 와신상담 인구론
- 코웨이, 점자 학습 교구재 제작 봉사
- [내일 날씨] 남부지방·제주도 중심 비, 서울·경기북동부 등 0.1mm 미만 빗방울… 아침 최저기온 -2~7도
- [오늘 날씨] 오전까지 서울·인천·경기남부 등 비, 중부지방·경상권 중심 대기 건조… 아침 최저기온 -3~7도, 낮 최고 9~18도
- 나만의 메뉴 조합… '배민트렌드 2025 봄·여름편' 발행
- LG유플러스, MWC서 AI 활용 전시관 공개
- 역대 최단기간… 갤럭시 S25 시리즈, 국내 100만대 판매 돌파
- KB국민은행, ‘시인 윤동주’ 서거 80주기 헌정
- 런치플레이션∙스내킹 트렌드에… SPC삼립 '런치빵' 인기
- 대신증권, 대체거래소 출범 맞춰 고객 지원 강화
- 롯데마트, '대만 라인페이' 대형마트 최초 도입
- 동아제약, 올리브영서 '오쏘몰 바이탈 f' 선봬
- 농심, '국내 양봉농가 활성화' 지원금 전달
- 넥슨, ‘퍼스트 디센던트’ 시즌2 에피소드 업데이트 예고
- 하이트진로 '일품진로', 미쉐린 가이드와 동행 계속
- 미국서도 황올… LPGA 윤이나 프로, 샌디에이고 매장 등장
- 웅진그룹-부천시, '상호협력 추진' 협약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개인 누적 순매수 1000억원 돌파
- NC AI, MWC서 AI 혁신 기술 공개
- 현대백화점-제주도, '관광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 전교조 "교사 정신건강 증진 관련 법률안 통과 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