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노동자의 날' 맞아 기자회견 개최
공공운수노조 등 "장애인활동지원사들 처우 개선에 나서야"

[뉴스클레임]
사회복지 노동자들이 3월 30일 '사회복지 노동자의 날'을 앞두고 더 나은 서울시를 만들기 위해 오세훈 서울시에 사회복지 공공성 강화와 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사회복지지부·사회서비스협의회·서울본부, 민주노총 서울본부 등은 28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세훈 서울시는 사회복지 현장의 공공성을 바로 세우고 처우 개선에 나서라. 만약 엄중한 요구를 외면한다면 윤석열 파면 이후 현장을 조직해 서울시와의 전면적인 투쟁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운수노조에 따르면 지난 25일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이 실시한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처우 실태조사'에서 활동지원사 일을 그만두는 첫 번째 이유로 26.7%가 '저임금'을 꼽았다. 활동지원사 인권 향상을 위해 개선돼야 할 점 1위는 '처우 개선'(58.5%)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공공운수노조 등은 "오세훈 서울시는 돌봄노동자들이 갖는 중요성을 생각한다면 실태조사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장애인활동지원사들의 처우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조속히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 개선 및 운영 계획'을 개정해 통상임금 산입 대상 급여 항목에 명절휴가비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미 인천시는 올해 통상임금에 명절휴가비를 반영하도록 지급기준을 변경한 바가 있다"며 "판례가 바뀌었음에도 서울시가 잘못된 지침을 고수함으로써 발생하게 될 현장의 혼란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서울시는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관련 시민공청회에 대해 '시의 중요한 정책사업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공청회 개최 요구를 반려한다고 밝혔다"면서 "공청회 개최를 다시금 촉구하며 서울시민들의 추가서명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이현미 공공운수노조 서울본부 본부장은 "사회복지노동자가 없다면 서울의 돌봄, 복지, 사회서비스는 유지될 수 없다. 그러나 서울시는 사회복지노동자를 값싼 노동력으로 취급하며 차별과 착취를 계속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돌봄을 상품으로 만들고, 노동자를 더욱 열악한 조건으로 몰아넣는 서울시의 반노동적, 반복지적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서울시는 사회복지노동자들의 노동을 존중하고 시민이 원하는 공공돌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