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뉴스클레임]

세월호참사 11주기를 하루 앞두고 세월호 유가족과 관련 단체들이 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한 정보 공개를 청구했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 등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의 행적이 담긴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이들은 "304명의 소중한 생명이 국가의 무능과 무책임으로 인해 바다에 잠긴 그날로부터 11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여전히 진실 앞에 서지 못하고 있다. 국가가 침몰한 그날, 컨트롤타워 책임자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어디에 있었는가"라고 말했다.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이어 "세월호 참사 당일, 재난 상황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할 대통령은 자리에 없었으며 제대로 된 지시도 없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모습을 드러낸 것은 참사가 발생한 지 7시간이 지난 뒤였다"며 "이러한 무책임은 국가가 세월호참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치명적인 사례다"라고 주장했다.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15일 오전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진행된 '세월호참사 당일 박근혜 7시간 대통령기록물 정보공개 청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이들은 "진실은 봉인될 수 없다. 국가는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온전히 규명해야 한다. 국가는 책임을 명확히 인정하고 피해자와 국민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