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노동자·시민 대행진 선포
공동행동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

8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5·31 노동자·시민 대행진 선포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8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5·31 노동자·시민 대행진 선포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시민단체들이 공공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발전노동자 총고용을 보장하라고 강력히 외쳤다.

'공공재생에너지 확대와 정의로운 전환을 통한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 2025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충남 태안과 경남 창원에서 열릴 대규모 행진을 앞두고 8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5·31 노동자·시민 대행진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동행동은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지금,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그러나 정부와 사회는 그 대안 마련에 여전히 소홀하다"며 "특히 발전노동자의 고용문제와 지역사회 붕괴 우려에 대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공동행동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석탄화력발전 의존은 2023년 현재 38%에 달한다. 석탄화력발전에 따른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주요 20개국(G20) 중 두 번째로 많으며, 세계 평균의 세 배에 달한다. 

이들은 "노동자들은,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해온 발전 노동자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에 동의했다"며 "선탄화력발전의 폐쇄와 재생에너지발전으로의 전환은 결국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더 신속하게 폐쇄하고 더 빠르게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더욱 심각한 것은 공공부문 발전의 역할 축소다. 현재 석탄화력발전의 공공부문 비중은 90% 이상이지만, 재생에너지 발전에서는 10% 내외에 그친다. 반면 현재 사업이 확정된 해상풍력발전의 92.7%를 해외투기자본을 비롯한 민간기업이 차지한다"며 "현재의 공공부문 중심 에너지 공급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함께 결국 수년 내에 민영화돼버린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새롭게 열린 대선 공간의 주요 의제 속에 기후정의는, 정의로운 전환은 눈에 띄지도 않는다. 오히려 윤석열 정부의 원전 의존 기조나, 재생에너지 전환 늑장 대응이 유지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며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의 대안은 정의로운 전환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오는 31일 충남 태안과 경남 창원에서 ‘정의로운 전환 노동자·시민 대행진’을 개최하고, 이를 통해 정부와 사회에 재생에너지 확대와 공공성 강화, 발전노동자 고용 보장을 촉구할 예정이다.

공동행동은 "공공 재생에너지로의 신속한 전환과 확대로 이어지도록, 노동자, 시민이 참여해 대안을 만들어내는 정의로운 전환으로서 발전 노동자 고용 보장과 지역사회의 활로 찾기로 이어지도록 노동자·시민 대행진을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며 "공공재생에너지 전환과 확대, 발전노동자 고용 보장을 위한 정의로운 전환 쟁취 투쟁에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