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김충현 대책위, 정부협의체 구성 관련 입장 발표
"'김충현 협의체' 제대로 시작돼야"

[뉴스클레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작업 중에 숨진 비정규직 김충현 노동자의 49재를 앞두고, 태안화력 故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정부에 책임 있는 협의체 구성과 가동을 또 한번 촉구했다.
대책위는 1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협의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정부는 대책위원회와 김충현님 동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정부가 김충현 노동자의 장례를 치르기 전 ‘고 김충현 사망사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고용·안전 협의체’를 제안했으나, 지난달 17일 장례 이후 지금까지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김충현 협의체는 다시 김용균 특조위 권고의 의미를 되살리는 것으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나아가 발전소 폐쇄를 앞두고, 폐쇄가 불러올 새로운 위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김용균 특조위의 권고 이행에서 발전소 2차하청 노동자들이 배제되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김충현의 동료들이 일하는 태안발전소의 1,2호기가 올해 12월이면 폐쇄된다. 이들의 계약은 1년이 채 남지 않았다"면서 "협의체의 지연은 김충현의 동료들에겐 희망고문이 될 것이고, 유가족에게는 기망이며, 대책위에겐 이재명정부의 노동정책에 대한 불신이 될 것이다. 이제 정부가 답을 하고 책임을 쳐야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박정훈 故김충현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모든 정부는 거짓말을 한다'는 말처럼, 정부는 그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정부 발표 후 한 달이 지났는데도 협의체를 시작한다는 소식은 들을 수 없다"고 발언했다.
이어 "어쩌면 7일마다 7번의 심판을 받아야 하는 것은 고인이 아니라, 노동자를 죽게 하는 살인 기업과 이를 방치한 국가일지도 모른다"면서 ▲죽음의 외주화 금지와 발전소 폐쇄 대책 마련 위한 노동자·시민 총파업 조직 ▲오는 24일 토론회를 통해 고용 안전 문제와 발전소 폐쇄에 따른 대안 제시 ▲허위 날조 주장한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에 대한 책임 물을 것 등의 투쟁 계획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