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투자·제도 혁신·문화 변화에 속도…실질 성과가 관건

[뉴스클레임]
건설업계가 반복되는 산업재해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압박 속에 근본적 변화로 가고 있다. 롯데건설은 최근 안전관리와 ESG 경영 혁신을 기업 경쟁력의 중심으로 삼고, 대규모 투자와 현장 밀착형 프로그램을 동시 추진 중이다.
■ 안전예산·스마트 기술, 현장 책임 강화
롯데건설은 지난해 안전관리예산을 1150억원까지 확대했다. 전담 안전관리자 확대, 현장별 관리책임 강화, 그리고 스마트 센서·AI CCTV·실시간 위험 알람 등 첨단 안전시스템을 전 현장에 확산 중이다.
‘무재해 인증제’, ‘안전 사전 점검제’, ‘근로자 밀착형 안전교육’ 등 실질적 사고 감소를 목표로 한 다양한 혁신 제도도 이어진다.
■ ESG 경영, “현장·사회 전방위 실천”
롯데건설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친환경 건자재·공법 확대, 에너지 절감 현장 구축 등 환경(E) 분야를 키우고 있다. 사회(S) 부문에서는 협력사와의 공정·상생 강화, 안전관리비 선지급, 지역사회 공헌·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 등을 대폭 늘렸다.
이사회 내 ESG·윤리위원회 설치, 경영진 책임 강화, 공시 투명성 제고 등 지배구조(G) 부문 개선도 병행한다.
■ 산업 내 평가와 경쟁사 비교
최근 3년간 롯데건설의 중대산업재해 사망사고 건수는 한 자릿수 수준으로 점진적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투자·제도 확대로 안전관리 우수기업 인증, 환경경영대상 등 외부 평가에서도 높은 순위를 기록 중이다.
현대건설, GS건설, DL이앤씨 등 주요 경쟁사와 마찬가지로 롯데건설도 “안전이 곧 기업의 신뢰와 생존”임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 다만, 롯데건설은 특히 협력사와 동반상생, 현장 근로자 중심의 실무적 제도에 집중한다는 강점이 있다.
■ 현장의 실질 변화, 앞으로 남은 과제
업계 전문가들은 “거액의 안전예산, 최첨단 시스템도 결국 현장에서의 실행력, 근로자 주도 안전문화의 내재화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롯데건설 역시 현장 주도형 안전활동, 사고 예방 목표관리제 등 지속적 실질 변화를 통해 '무재해 현장=롯데건설' 이미지 구축을 노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