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약 불이행·노정교섭 외면 비판
공공운수노조 "대화 없으면 하반기 전면 투쟁”
17일 의료연대·지하철노조 시작으로 확대

11일 오전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진행된 '공공운수노조 파업돌입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11일 오전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진행된 '공공운수노조 파업돌입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가 9만여 명 규모의 조합원이 참여하는 대규모 파업에 돌입한다. 핵심 요구는 공공기관 운영의 민주적 혁신과 비정규직 정규직화, 안전 인력 충원이다. 노조는 정부가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면 하반기 내내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공공운수노조는 11일 오전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17일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파업 집회를 시작으로 단계적 파업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21개 사업장 2만9292명의 조합원이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이날 엄길용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정부가 출범 100일을 맞이하기까지 주요 공약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선에서 약속한 초기업교섭 실현과 공공기관 운영 민주화, 비정규직 정규직화는 100일이 지난 지금 공허하게 남아 있다”며 “정부가 내놓은 공공기관 평가체계는 시장 논리에 치우쳐 공약과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말했다.

이어 “노정교섭을 요청했지만 돌아온 답은 ‘어렵다’는 말뿐이었다. 정치권에서도 공약보다 후퇴한 법정책이 발의되는 상황 속에서 남은 선택은 파업뿐”이라고 강조했다.

현장의 안전 문제도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강철 철도노조 위원장은 “지난달 청도에서 외주업체 노동자 2명이 목숨을 잃었고, 지난해 구로역에서도 비극이 반복됐다”며 “사고가 날 때마다 임시 조치에 그쳐 현장은 여전히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줄인 인력이 1500명이 넘는다. AI나 시스템 도입으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결국 사람을 충원해야 한다”며 “죽지 않고 일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위원장은 또 대통령이 공약한 고속철도 통합 문제를 언급하며 정부 책임을 물었다. 그는 “철도를 분리한 뒤 안전 관리가 이원화됐다. 정비 민영화가 추진되면 안전의 핵심마저 흔들릴 수 있다”면서 “철도노동자의 힘으로 반드시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오는 17일 의료연대본부와 부산지하철노조가 먼저 파업에 돌입하고, 이어 국민건강보험 고객센터와 인천공항,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차례로 동참할 계획이다.

엄길용 위원장은 “정부가 대선과 국정과제에서 약속한 내용을 책임 있게 이행할지, 아니면 거리로 나선 거대한 파업 대열과 맞설지를 선택해야 한다. 답은 결국 정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