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사..2년간 영화제작‧배급업 45.4% 줄어, 업종별 일자리 양극화 심화

전경련 제공
전경련 제공

 코로나 19 이후 2년간 코스피 상장사들이 입은 고용 타격이 코스닥 상장사들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 일자리 양극화도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2019~2021년 3분기 기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주)의 종업원 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상장 기업의 종업원 수는 130만6000명으로, 전년 3분기(130만명)보다 증가했습니다. 

이는 코로나 19 창궐 이전인 2019년 3분기(130만7000명)에 가까운 수준을 보인 것입니다.

시장 규모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기업 규모가 큰 코스피 시장이 코스닥 시장보다 더 큰 고용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스피 상장사의 종업원 수는 2021년 3분기 105만7000명으로 2019년 3분기 106만2000명보다 5000명 줄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1년 3분기 종업원 수는 24만9000명으로 2019년 3분기 24만5000명보다 4000명 늘어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경련은 "전통적인 제조업·도소매업 등이 많이 포진돼 있는 코스피 상장사들은 코로나발 경제위기의 충격을 다소 받은 데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전자부품 및 의약품 제조업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들이 다수 포진돼 있는 코스닥 상장사들은 상대적으로 코로나로 인한 4차 산업혁명 가속화의 수혜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2년간(2019~2021년) 3분기 기준 상장기업 종업원 증가 상위 업종을 살펴보면, 1위는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으로 증가 인원은 8174명(7.1%)에 달했습니다.

이어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2457명(13.1%),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2367명(15.0%), 기타 사업지원 서비스업 1842명(21.1%), 반도체 제조업 1513명(3.6%) 각각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상장기업 종업원 감소 상위 업종을 살펴보면, 1위는 종합소매업으로 감소 인원은 5759명(△8.6%)이었습니다.

2위는 영화·비디오물 등 제작 배급업으로 3731명(△45.4%)이 줄고 3위는 항공 여객 운송업으로 2305명(△6.1%) 감소했습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들은 어려운 경영 환경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최근 오미크론 대유행, 금리 인상, 원자재가격 급등 등으로 기업 경영에 비상등이 켜진 상황”이라고 우려하며 "차기 정부는 기업들이 경제 활력 제고에 앞장설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