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사...△일자리 창출 △기업규제 완화 △미래성장동력 확충 등 요구 높아

국민 절반은 차기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로 '경제 활성화'를 꼽았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21명을 대상으로 '국민이 바라는 차기정부 경제정책 과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6.7%의 국민이 "차기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경제활성화"라고 답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정치 개혁(30.1%), 사회 통합(9.7%), 외교·남북관계 안정(8.0%), 문화 융성(1.2%) 등을 꼽았습니다.
차기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과 관련해 일자리 창출(28.9%)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어 기업규제 완화(21.0%), 미래성장동력 확충(18.9%), 내수진작을 통한 소비촉진(10.7%), 노동시장 개혁(9.2%), 금융시장 선진화(7.8%) 등의 순이었습니다.
또 차기 정부가 20년 후 한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중점적으로 지원해야 할 신산업에 대해서는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21.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AI(19.1%), 전기·자율차 등 미래차(17.5%), 바이오·헬스(13.0%), 수소산업(9.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차기 정부가 노동시장 개혁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법 위반에 대한 엄정한 대처'(26.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국민과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차기 정부가 시급하게 추진해야할 사업과 관련해서는 물가 안정(39.5%)과 부동산 수급 안정화(31.8%)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실업문제 대책마련(14.8%), 노사관계 안정(5.0%), 요소수 등 생활필요물자 수급불안 해소(4.6%) 등의 응답이 있었습니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향후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경제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주요기사
- '경제 행보' 대선후보 잇단 방문...존재감 커진 종합경제단체 경총
- "노동이사제, 우리 경제시스템 부합안해" 재계 반발 잇따라
- [재계하우스] 젊은 경제단체 직원들의 이직 러시
- [포토] 요양서비스노조 경기지부 "돌봄 무시하는 수원시 규탄"
- [포토] "수원중앙요양원 위장폐업, 나몰라라 하는 염태영 시장"
- 국민의힘, ‘김혜경 불법 황제갑질’ 피해자 공익신고자 지정 촉구
- [영상] 길고양이 학대에 날짜 예고까지… “법정 최고형 선고를”
- [사설] CJ대한통운노조, 스스로 밥그릇 걷어차지 말아야
- 코로나 이후, 코스피 상장사 고용타격 코스닥 상장사보다 더 컸다
- 국내 대기업 절반 "올 상반기 신규 채용 없거나, 계획 미정" 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