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500대 기업 대상 조사..인재 확보 어려움·코로나 확산 등 사유

전경련 제공
전경련 제공

 올 상반기에도 청년 채용 시장은 어두울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대기업 절반이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6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의 절반(50.0%)은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같은 응답이 전년 동기(63.6%)보다는 줄었지만, 작년 취업시장이 워낙 좋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기저효과인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경련 설명입니다. 

또 코로나 확산 이전 수준(41.3%)으로 돌아가지 못해 일자리 상황이 여전히 어렵다는 점을 방증하고 있습니다.

이 중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기업은 42.1%, 신규 채용이 아예 없는 기업은 7.9%였습니다.

올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은 50.0%로, 이 중 채용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기업은 54.3%입니다. 작년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41.4%, 줄이겠다는 기업은 4.3%로 나타났습니다.

전경련은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 속에서도 고용 여력이 있는 일부 기업들은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로는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가 어려움(19.2%)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음(17.3%) △회사상황이 어려움(13.5%) △고용경직성으로 인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인 인력 구조조정이 어려움(13.5%) △내부 인력 수요 없음(11.5%) △하반기 공채만 진행(3.9%) △기업규제3법, 노조법, 중대재해법 등 과도한 규제입법으로 인한 경영 어려움(1.9%) 등을 꼽았습니다.

올 상반기 대졸 채용 시장에서 기업들이 이공계열 전공자 선호 현상도 두드러졌습니다.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 채용 계획 인원 10명 중 6명(61.0%)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했습니다.

전경련은 "산업 구조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R&D(연구개발) 중요성 확대 등으로 이공계 인력에 대한 선호도가 지속 증가하는 반면, 대학 전공 구조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청년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전경련 #대기업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