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위 “청소노동자 지지, 학교가 나서서 처우 개선해야”

[뉴스클레임] “최근 학교 고소건으로 유명해졌습니다. 그저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 정의가 무엇인지 가르치지 않아 생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기자회견은 원청으로서, 학교를 길러내는 교육기관으로서 연세대학교가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하는 자리입니다.” 해슬 공대위 집행위원장의 말이다.

6일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백양관 앞, 청소경비노동자들의 투쟁에 연대하는 학생들이 모였다. 연세대 일부 학생들이 학내 청소경비노동자들의 집회 소음으로 학습권이 침해됐다며 노조 측을 고소하자, 재학생들은 노조의 투쟁을 지지하고 나섰다.

6일 오전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백양관 앞마당에서 진행된 ‘청소경비노동자 투쟁에 연대하는 연대생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6일 오전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백양관 앞마당에서 진행된 ‘청소경비노동자 투쟁에 연대하는 연대생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연세대 비정규 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청소경비노동자들의 처우를 실질적으로 결정짓는 원청으로서, 정의를 가르치고 학생을 길러내는 교육기관으로서 연세대학교가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공대위는 “연세대분회의 청소·경비·주차·미화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선지도 벌써 3개월 가까이 됐다. 아주 상식적인 요구인 440원 임금인상, 정년퇴직자 인원충원, 샤워실 설치를 원청인 학교가 받아들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가파르게 올라가는 물가상승률에도 생존권을 위해 최저임금 인상분인 440원을, 위생과 건강권을 위해 샤워실 설치를 요구하는 것이 어떻게 과도한 요구일 수 있다는 말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학교 운영금액을 낮추겠다는 이유만으로 용역업체와 계약해 노동자들을 비정규직이라는 노동환경에 던져 놓고, 정작 노동자가 생존권이 달린 문제로 학교와 대화하고자 할 때는 하청업체가 해결할 일이라며 손을 떼는 것이 일상이 됐다”며 “원청이 갖는 절대적 위치를 고려하면 학교당국의 태도는 노동자들의 실질적인 고용주로서 마땅히 져야 할 책임을 유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