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25만 화물노동자들은 20년 이상 화주들의 노예처럼 살았습니다. 이제 더 이상 잃을 것도, 물러날 곳도 없습니다. 죽을 각오를 하고 싸우겠습니다. 저희 투쟁을 지지해주시길 바랍니다.”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의 호소다.

6일 시민사회종교계의 사회원로들이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철회와 노·정 간 대화 테이블 마련을 촉구했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안전운임제 관련 화물파업의 올바른 해결을 촉구하는 사회원로와 각계 대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안전운임제 관련 화물파업의 올바른 해결을 촉구하는 사회원로와 각계 대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이날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현정희 위원장은 울먹거리리며 파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를 말했다.

그는 “도로의 안전,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해 안전운임제를 만들었다. 안전운임제로 인해서 화물노동자들은 살아서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졌다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앞서 6월 파업에 정부 여야는 안전운임제를 지속하고 품목을 확대하는 논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그 약속을 지켜지지 않았고, 결국 파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또 공정거래위원회를 앞세워서 화물노동자들의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노조의 활동 내역을 달라고 겁박하고, 심지어 화물노동자들의 가족들한테 ‘면허를 취소하겠다’ 등의 겁박을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정희 위원장은 “정부가 국민의 안전과 노동권을 챙겨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여당이 나서서 불법적으로 노동자들에게 탄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며 “극악무도한 정권, 국민이 정치를 하라고 뽑아준 국회위원들, 모두 우리를 배신하고 있다. 이런 대한민국에 정치 현실에 대해서 우리는 투쟁으로 우리 역할을 묵묵히 하겠다”고 밝혔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