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화물연대
사진=화물연대

[뉴스클레임] 서울지하철, 철도노조에 이어 화물연대 파업이다. 화물연대는 지난달 24일부터 무기한 집단 운송거부에 돌입했다.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과 품목 확대를 요구하는 파업은 오늘로 13일째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민생과 산업 현장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곡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화물연대와 정부가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대치 국면이 장기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합의점을 찾기 위해선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 앞서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본교섭을 갖고 임금·단체협약 협상 타결을 선언했다. 교섭은 협상 테이블을 차린 지 4시간 만에 극적 타결로 귀결됐다. 이에 따라 서울 지하철의 총파업은 하루 만에 막을 내렸다. 철도노조와 한국철도공사도 밤샘 협상을 벌인 끝에 임금·단체 협상 개정에 잠정 합의했다. 이에 예정됐던 파업은 철회됐고, 출근길 수도권 전철은 정상 운행됐다.

반면 화물연대 파업은 대화의 자리 없이 13일째 이어지고 있다. 협상은커녕 강대강 대치 중이다. 양보 없는 분위기는 더욱더 확산되고 있다. 화물연대 파업을 지지하며 ‘동조 파업’에 돌입한 건설노조를 향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없는 제도를 만들어서라도 불법적인 관행을 뿌리 뽑겠다”고 말했다. 이에 건설노조는 “없는 투쟁이라도 만들어서 엄중히 맞설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이래서는 답이 없다. 상황이 지금처럼 극한으로만 치닫는다면 끝까지 대화도, 해결책도 찾을 수 없다. 시민사회종교계의 사회원로와 각계 대표들도 합리적 방안을 찾으라고 말한다. 이들은 정부당국에 업무개시명령 철회, 공정거래위원회를 동원한 무리한 조사, 경찰력을 동원한 인신구속 협박 등 강경일변도의 무리한 태도를 바꾸길 바란다고 말하는 한편, 화물노동자들도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해, 대화를 통한 해결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제는 강대강 대치만을 고수할 게 아니라 타협,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때다. 정부는 업무개시명령 등 겁박과 압박을 그만하고 대화로 적극 설득에 나서야 한다. 화물연대도 산업 현장에 피해를 주는 것을 그만해야 한다.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이 때문에 파업이 시작된 것은 사실이지만, 명분 빠지는 행동을 하면 되레 독이 된다. 파업도, 고집도, 압박도 오래 끌어 득이 될 게 없다. 지하철, 철도처럼 화물연대 파업도 머리를 맞댄 대화와 노력으로 풀어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