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뉴스클레임]

13일 오후 서울시청 동편, 정부의 UN 장애인권리협약과 탈시설가이드라인의 원칙 준수를 촉구하는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가 열렸다.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탈시설한 장애인들이 지난해 4월 여의도 이룸센터 앞 농성장에서 출범식을 가진 지 1년 만이다.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는 "최근 UN탈시설가이드라인의 이행 지표를 개발해 국내 정책을 평가한 결과 191개 지표 중 이행 정책은 0개였다"며 "정부는 탈시설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충분한 예산을 배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윤석열 정부가 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과 탈시설 시범사업에서 '탈시설'이란 용어를 삭제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설을 선택할 권리'를 운운하며 탈시설 장애인에 대한 강압적인 조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이들은 "탈시설가이드라인 국내 이행을 촉진하는 주체가 돼 시설에서의 경험과 탈시설 당사자로서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삶을 토대로 정부에 UN장애인권리협약과 탈시설가이드라인의 원칙을 제기하고 이행하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사진=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