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023년 전국 최저임금 설문조사 결과 발표

[뉴스클레임]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노동자 10명 중 8명은 올해 최저임금이 생계를 꾸리기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노총은 24일 오전 민주노총 중회의실에서 '2023년 전국 최저임금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응답자의 84.8%가 올해 최저임금인 시급 9620원으로는 본인과 가족이 살기에 부족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지난 3월 20일부터 4월 28일까지 전국 온라인 및 대면 설문조사 방법으로 '2023년 전국 체감경기 및 최저임금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실질적으로 최저임금 영향을 받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 7509명 가운데 미조직 노동자 537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노조 가입자·사업주·무직자 등은 제외했다.

주요 조사 내용은 ▲체감물가, 실질 경험 등 경제 현실 ▲생계비, 최저임금 적정 수준 등 최저임금 관련 쟁점 ▲휴게기설, 연차휴가 등 노동조건 실태 등으로 구성됐다.

24일 오전 민주노총 회의장에서 열린 '2023 체감경기·임금실태 전국설문조사 사업 결과 발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24일 오전 민주노총 회의장에서 열린 '2023 체감경기·임금실태 전국설문조사 사업 결과 발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설문 분석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은 2024년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으로 월 230만원 이상을 꼽았다. '월 250만원 이상'(시급 1만2000원 이상)을 선택한 비율은 31.9%였다. ‘월 230∼249만원’(시급 1만1000원∼1만1900원)은 30.6%로 나타났다.

올해 최저임금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84.8%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정규직(84.8%)과 비정규직(85.2%)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구 규모가 커질수록, 연령이 많아질수록 '현재 최저임금이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그 이유에 대해선 응답자 중 69.6%는 '작년보다 생활비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1인 가구에선 '작년보다 생활비가 늘었다'는 응답이 72.8%로 더 높았다.

내년 최저임금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요인으로 10명 중 8명은 ‘물가상승률’(43.7%) 또는 ‘생계비’(37.5%)를 꼽았다. 이어 ‘경제성장률’은 4.5%, ‘전체 노동자 임금수준 및 인상률’은 3.4%, ‘기업 이익 중 노동자 임금 비중’은 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은 "결론적으로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조직 노동자만이 아니라 최저임금 영향권에 속한 대다수 미조직 노동자들도 현재 최저임금 수준이 생계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과 생계비를 반영한 상당 폭의 최저임금 인상 필요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